Velo4 서울시 공공자전거-'따릉이' 자전거 동호인분들 중에서는 따릉이를 싫어(까지는 아니지만)하거나 호의적이지 않은 분들이 많이 계시는데요, 저는 따릉이를 무척이나 애용하는 편입니다. 따릉이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해 드리도록 하죠. 1. 사용방법 일단,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공공자전거이구요. 정기권과 일일권을 구매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앱을 깔아서 회원가입을 하면 지도기반으로 어느지역에 대여소가 있는지, 해당 대여소에 몇대의 자전거가 가능한지 잘 알려줍니다. 기본대여시간은 1시간권, 2시간권이 있습니다. 대여시간을 초과하면 5분마다 200원 과금되구요. 빌린곳에서 반납하지 않아도 되구요, 다른 대여소 아무데서나 반납하면 됩니다. 종류 1시간권 2시간권 정기권 7일권 3,000원 4,000원 30일권 5,000원 7,000원 180일권 15.. 2021. 12. 29. 안전라이딩을 위한 기본(2) 라이딩시 안전을 위해 알아두어야 할 수신호나 기본 교통흐름을 앞에서 언급했는데요, 사실 그것보다 더 확실히 해야할 안전수칙이 있습니다. 어쩌면 기본중에 기본이라 많은 분들이 간과하실수도 있는 부분입니다. 바로 안전장비 점검과 음주, 핸드폰 사용 등 당연한 상식수준의 내용입니다. 서울시에서 잘 정리해 놓은 이미지가 있어서 붙여두겠습니다. 자전거를 타러 나갈때 자전거를 점검하는것부터 시작입니다. 자전거 점검 POINT 7 : 이 7가지는 꼭 점검해보세요~ 1. 브레이크 2. 핸들 3. 안장 4. 타이어공기압 5. 페달 6. 전조등 7. 후미등, 반사체 타이어 공기압 체크는 꼭 해주시는게 펑크예방에 좋습니다. 손으로 눌러보셔도 되겠지만, 공기압체크를 할수 있는 펌프구매를 추천드립니다. (얼마 안합니다) 그리고.. 2021. 11. 13. 안전라이딩을 위한 기본(1) 자전거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어떤 자전거든지 안전이 가장 우선입니다. 최근 주변에 자전거를 새롭게 시작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셔서 동호회에서 흔히 사용하는 일종의 규칙을 찾아서 올려둘까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진화(?)하기는 하는거 같은데 기본은 동일하니까 예전내용 그대로 올려두겠습니다. 출처는 도싸임을 밝힙니다. 2014년이전 이미지이긴 하지만 여전히 통용됩니다. 자전거를 즐기시는 분들 모두들 안전라이딩 하시기 바랍니다~ 2021. 11. 13. 남북코스 남산코스는 자전거인들이라면 대부분 가봤을 대표적인 코스입니다. 주로 업힐을 연습하는의미도 있지만 경치가 좋아서 가기도 합니다. 다만 자전거 전용도로가 아니라 일반도로로 가야하기 때문에 안전상 주의는 필요합니다. 출발지에 따라서 다소 차이는 있겠지만 대체로 한남대교 북단부터 코스는 시작합니다. 한남대교에서부터 국립극장까지도 나름 업힐이기때문에 (평균 경사도 3%대) 이때부터 지치기 시작합니다. 본격적인 남산업힐은 국립극장 앞, 약수터에서부터 정상부근 버스정류장까지의 1.43km를 말합니다. 1.43이면 짧다고 느껴질수 있는데, 이게 막상 올라가보면 처음엔 왜케 길어? 언제끝나?를 연발합니다. 남산 ( 약수터입구~ 관광버스주차장입구) 구간 : 1.77km 고도차 : 117m 평균경사도 : 6.6% 아이유고개.. 2021. 11. 8. 이전 1 다음